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BOJ1753
- 프로그래머스 #무지의먹방라이브 #C++
- 백준 #BOJ #1697
- 생활코딩
- BFS
- 백트래킹
- BOJ11729
- 이분탐색
- DP
- 색종이와가위
- boj
- 백준11404
- 백준2533
- html
- 백준
- BOJ1931
- BOJ11066
- BOJ2629
- 1520내리막길
- BOJ2110
- github_actions
- BOJ14501
- BOJ9663
- BOJ11404
- BOJ20444
- BOJ2805
- BOJ14719
- 재귀
- 백준2110
- 백준2141
- Today
- Total
목록Language (2)
poksul_log
📍 new? C에서의 malloc과 같은 역할로, heap 상에서 메모리를 할당함 ▶ 사용법 Type* pointer = new Type; // Type 크기의 공간을 할당, pointer에 주소값 전달 // example int* p = new int; // int 크기의 공간 할당, 주소값 p에 넣기 /* 배열에 사용 시 */ Type* pointer = new Type[size]; // example int* list = new int[10]; 📍 delete? C에서의 free와 같은 역할로, heap 상에서 메모리를 해제함 이 때, delete로 해제할 수 있는 공간은 사용자가 new를 통해 할당한 공간만 해당한다. *p = 10; delete p; // p에 할당된 공간 해제 /* 배열 해제 ..
📍 포인터란? 메모리의 "주소값"을 저장하는 변수 변수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공간이라면, 포인터는 그 변수를 가리키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. 변수 앞에 *을 붙여서 선언한다. ▶ 그렇다면, 포인터를 사용하는 이유? 다른 프로그램이나 파일에서 참조 시, 복사본이 아닌 진짜 해당 변수에 접근하기 위함. 주소 연산자 & : 변수의 주소값 반환 ( = 연산자 뒤에 쓰임. 변수 이름 뒤에 사용됨 ) 포인터 * : 변수의 주소를 가리킴 (&변수를 통해 변수의 주소를 가져올 수 있음) 역참조 * :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주소에 있는 값을 가져옴 int i를 함수의 파라미터로 줬을 때, 실제 i 에 접근하여 값 가져오지 않고, 복사하여 연산함. 따라서 포인터를 이용해 변수의 주소에 직접 접근하여 진짜 해당 변..